uxui를 시작하면서, 정확한 정보와 개념정리들이 무지한 상태에서 프로젝트에 임하다보니 접근성에 관련된 용어까지 생소한 단어들이 계속 튀어나오다보니, 가끔은 온전히 작업에 올인하는 시간보다 서치하며 알아가는 시간이 2배가 되어 나도 모르게 시간이 지나가있을 때도 많다.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추측만으로 사용하며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기에 이번 기회에 ux/ui에 대한 인사이트를 깊이 알아보고자 한다.
80대 20 법칙
파레토의 법칙인 80대 20 법칙은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보통 커머스에서 VIP 고객 20%가 매출의 80%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80대 20 법칙'을 차용한다고 한다. 이 파레토 법칙을 ux에 적용한다면, 제한된 시간과 자원을 가장 영향력 있는 기능 개발에 집중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가장 가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어떤 기능에 집중해야 하는지 결정하는데에 파레토 법칙을 이해하고 적용한다면 더 효율적이고도 목표 지향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한다.
언어 자체가 어려움이 있어 적용하는데 고된 공부가 필요해 보이는 법칙으로 여겨진다. 법칙과 용어 기능을 잘 알아도 어느 상황에서 어떤 기능에서 활용해야할지를 많은 프로젝트를 통해 적용해보아야 하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GUI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자와 프로그램이 상호 작용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부른다.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하는 환경을 말한다. 이 둘의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UI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히 말하자면 GUI라고 한다. 윈도우, 아이콘, 메뉴, 버튼 등 그림으로 된 화면 위의 물체나 틀, 색상과 같은 그래픽 요소들을 어떠한 기능과 용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모두가 유저의 편의성을 위해 프로젝트를 형성하고 제작하고 코드짜는 일을 하는 것이다. 내가 하는 분야는 GUI 형태로 기획자가 넘겨주는 혹은 내가 짜는 와이어프레임으로 더욱더 유저가 편리할 수 있는 방향성으로 고안해 수정과 유저 테스트를 반복하는 것 같다.
UI를 위한 UX 원칙
1) 쉽고 단순하며 쉬워야한다고 한다.
앱 즉 모바일 UI에서 단순한 디자인이 사용성을 높인다는 근거로 '학의 법칙'을 들 수 있다. 학의 법칙은 선택해야 할 가짓수가 많아질수록 의사결정 시간이 느려진다는 심리학 법칙이다. 사용자는 쉽고 빠르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사용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기능과 버튼을 줄이는 게 사용성을 높인다. 시각적인 잡음을 없애는 것이다. 글씨의 크기와 굵기, 구성 요소의 배치를 정리해 시각적인 잡음을 줄일 수도 있다고 한다. 모바일은 화면이 작기 때문에 시각적 잡음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나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UXUI를 만들어야 하며, 한 화면에서 한 가지 일만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한 원칙 중 하나라고 한다.
2) 자연스럽게 해야 한다.
UX 디자이너는 사용자 여정을 잘 설계해야 한다. 사용자가 고민 없이 '자연스럽게' 앱/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사용자를 학습시키는 것보다 좋은 행동을 유도하는 게 사용성을 높인다. ux 원칙의 근거로 '넛지 이론'을 들 수 있다. '슬쩍 찌른다'는 뜻으로, 넛지 이론은 사용자에게 무엇을 강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행동을 유도하는 효과를 뜻한다. CTA 버튼처럼 구매나 가입 전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버튼은 사용자의 눈에 띄도록 만들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렇듯 uxui에는 공부하고 학습하며 적용시키는 과정이 깊다면 깊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사용자를 위해서 개발자와 디자이너와 기획자의 삼합이 모두 맞게 떨어져 하나의 앱웹을 구현한다는 것이 전우애 같다. 뜻이 맞지 않아도 뜻이 맞게끔 하나의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게 쉽지 않은 일인 만큼 뿌듯하고 새로운 것을 알아갈 때마다 재미와 신기함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